티스토리 뷰



저희 집 아이들이 작아서인지 요즘들어 전 아이들의 성장에 대해 관심이 많습니다.


고기, 달걀, 우유 등 동물성 식품은 몸에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엄마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런데 성장기 아이에게 있어 살과 근육의 성장을 위한다면 반드시 동물성 식품을 먹여야 합니다. 몸에 나쁜 것이 동물성 지방인것이지 동물성 단백질은 아니기 때문이죠.


아이들은 섭취해야 하는 단백질은 최소 3분의 2는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동물성 단백질은 필수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있습니다.

식물성 단백질로만 이뤄진 식사로는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섭취하기 힘듭니다.


둘재, 동물성 단백질은 식물성 단백질에 비해 소화나 흡수가 잘 되는 편입니다. 고기, 달걀, 생선, 우유 등에 든 단백질은 체내 흡수율이 무려 95% 이상입니다.


셋째, 동물성 단백질이 부족하면 피부 점막이 약해지고, 폐나 위 점막에서 면역 물질이 잘 생성되지 않습니다. (제가 얼마전 한의원을 다녀왔는데 저도 위가 좋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진다더군요.)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아이가 호흡기나 소화기 쪽 질병에 더욱 잘 걸리는 이유도 이때문입니다.


무럭무럭 자라나는 아이들은 체중이 1Kg 당 단백질 요구량이 성인에 비래 많다고 해요. 하지만 우리나라 아이들 대부분은 단백질 섭취량이 과잉 상태로 단백질 권장량의 125% 이상을 섭취한대요. 


초등 저학년은 하루에 단백질 40g, 고학년은 56g 가량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초등 고학년이 될 수록 성장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량도 함께 늘려야 합니다. 그렇다면 양질의 단백질 식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육류




육류는 필수아미노산이 골고루 들어있으면서 체내 흡수율이 95% 이상이기 때문에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방이 많다는 것이 문제지요. 따라서 아이들에게 포화지방을 덜 섭취하게 하려면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구입할 때 기름이 적은 부위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삼겹살이나 베이컨 같은 지방이 많은 부위나 고기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멀리 하는게 좋습니다.(전 베이컨 좋아하는데 끊도록 노력해야겠어요 흑)


고기를 먹을 때에는 지방 부위는 가급적이면 떼어내고, 살코기만 먹이도록 하세요. 닭고기 같은 경우에는 지방이 몰려있는 껍질 부분을 벗긴 후 조리합니다. 육류는 튀김이나 볶아 먹는 것보다는 굽거나 찌거나 조리는 방법이 좋다고 합니다. 간혹 취기거나 볶아서 먹을 때는 버터나 마가린 같은 동물성 기름 대신 콩기름이나 들기름 같은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세요!



- 새우, 연어, 고등어, 참치 등의 해산물




해산물은 쇠고기나 돼지고기와는 달리 혈관에 해로운 포화지방 함유량이 적습니다. 그리고 두뇌와 시력 발달에 좋은 DHA, 오메가-3 지방이 많지요. 


새우와 게는 콜레스테롤이 많다는 인식때문에 꺼리는 사람이 많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새우와 게에 포함된 콜레스테롤은 몸에 흡수가 잘 되지 않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새우에는 이와 뼈를 튼튼하게 하는 칼슘이 풍부하다고 합니다. 흰살 생선의 대표주자인 대구와 조기 등은 등푸른 생선과는 달리 맛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생선 비린내를 싫어하는 아이들도 대체적으로 잘 먹습니다.



- 저지방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저지방 유제품




우유에 있는 단백질은 아이들이 잘 흡수시킵니다. 게다가 우유에는 칼슘이 풍부하죠. 아이들에게는 저지방이나 고단백, 고칼슘 같은 유제품을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 콩, 두부, 된장국, 호두, 아몬드 등 식물성 단백질




아이 성장에 있어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 결핍되지 않도록 하려면 평상시에도 통곡물이나 견과류, 채소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다양히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콩을 먹었을 때 부족했던 필수아미노산을 견과류에서 얻고, 견과류에서 부족했던 필수아미노산을 콩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콩밥을 먹으면 메티오닌이 부족한 콩과 라이신이 부족한 쌀의 약점이 보완됩니다. 보리와 쌀은 둘 다 라이신이 부족하기 때문에 보리밥보다는 콩밥이 훨씬 단백질의 질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